본문 바로가기
교육

설중송백(雪中松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설중송백(雪中松柏)은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추운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처럼 절개와 지조를 지키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설중송백(雪中松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설중송백은 어려움 속에서도 변함없이 꿋꿋하게 자신의 신념과 절개를 지키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설중송백 뜻

  • 雪(눈 설): 눈
  • 中(가운데 중): ~속에, ~중에
  • 松(소나무 송): 소나무
  • 柏(잣나무 백): 잣나무, 상록수

문자 그대로 설중송백은 “눈 속에서도 변함없는 소나무와 잣나무”, 즉, 어떤 시련이나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절개와 지조를 지키는 사람을 뜻합니다.

 

유래

설중송백(雪中松柏)은 중국 고전 《후한서(後漢書)》 유표전(劉表傳)에서 유래합니다.

“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
“추운 계절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드는 줄 안다”

평소에는 모든 나무가 푸르지만, 겨울이 되어야 비로소 상록수인 소나무와 잣나무만이 변함없이 푸르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는 뜻입니다.

즉, 설중송백은 역경과 시련이 닥쳐야 사람의 진면목, 지조와 절개가 드러난다는 교훈입니다.

 

예문

  • 그는 어떤 역경 속에서도 설중송백처럼 굳건한 신념을 지켰다.
  • 선비의 삶이란 설중송백처럼 절개를 잃지 않는 것이다.
  • 친구는 어려움 속에서도 설중송백의 정신으로 포기하지 않았다.
  • 시대가 바뀌어도 설중송백의 정신은 여전히 가치 있다.

설중송백은 역경 속에서도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사람이나 태도를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설중송백설중송백설중송백

 

설중송백 반대말

  • 조변석개(朝變夕改):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바꿈
  • 우유부단(優柔不斷): 결단력이 없고 줏대가 없음
  • 견리망의(見利忘義): 이익을 보면 의리를 저버림

상황에 따라 쉽게 신념을 버리거나, 변덕스럽고 지조가 없는 상태가 반대 개념입니다.

 

설중송백 유의어

  • 세한삼우(歲寒三友): 추운 겨울에도 변하지 않는 세 친구
  • 백절불굴(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굴하지 않음
  • 금강불괴(金剛不壞): 금강석처럼 깨지지 않는 강한 의지

모두 어떤 역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절개와 신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설중송백(雪中松柏)은 단순히 강인함을 넘어, 어려움 속에서도 변치 않는 지조, 절개, 신념을 지닌 사람의 상징적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설중송백은 조직의 리더십, 개인의 삶, 공동체의 정신적 가치를 설명할 때 매우 강력하게 사용되는 의미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설부화용(雪膚花容) ⭐

설빈화안(雪鬢花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