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부화용(雪膚花容)은 “눈처럼 흰 피부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매우 아름답고 고운 여성의 외모를 찬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설부화용은 주로 피부는 눈처럼 희고 맑으며, 용모는 꽃처럼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의미로, 절세미인(絶世美人)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설부화용 뜻
- 雪(눈 설): 눈, 희고 맑음
- 膚(살갗 부): 피부, 살결
- 花(꽃 화): 꽃, 화려하고 아름다움
- 容(얼굴 용): 얼굴, 용모
문자 그대로 설부화용은 “눈처럼 희고 고운 피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 즉, 피부가 맑고 흰색이며 얼굴은 화사하고 아름답다는 뜻입니다.
유래
설부화용(雪膚花容)은 고대 중국 문학에서 미인을 찬미할 때 자주 사용된 표현입니다.
특히, 고대 시가나 한시, 궁중 문학 등에서 절세미인을 묘사할 때 빈번하게 등장합니다.
설부화용은 단순히 외적인 아름다움을 넘어서, 맑고 깨끗하며, 우아한 품격까지 겸비한 여성상을 나타냅니다.
예문
- 그녀는 정말 설부화용이라는 말이 어울릴 만큼 아름다웠다.
- 연회장에 나타난 여인은 설부화용 그 자체였다.
- 설부화용의 미모에 모두가 감탄했다.
- 그의 시 속에는 늘 설부화용의 여인이 등장한다.
주로 여성의 뛰어난 외모를 찬미하거나 문학적 수사로 사용됩니다.
설부화용 반대말
- 모골송연(毛骨悚然): 소름이 끼치다
- 색즉시공(色即是空): 아름다움도 결국 허무하다
외적인 아름다움이 없거나, 혐오스럽거나, 아름다움이 허망하다는 철학적 반대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설부화용 유의어
- 경국지색(傾國之色):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 아름다운 여자
- 절세미인(絶世美人): 세상에서 견줄 자 없는 미인
- 화용월태(花容月態): 꽃 같은 얼굴과 달 같은 자태
- 침월수화(沈月羞花): 달을 부끄럽게 하고 꽃을 무색하게 하는 미모
- 폐월수화(閉月羞花): 달을 숨기고 꽃을 부끄럽게 할 정도의 미모
모두 뛰어난 미모, 아름다운 외모를 찬미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설부화용(雪膚花容)은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맑고 투명한 피부, 꽃처럼 화사한 얼굴, 고결한 분위기까지 아우르는 미인의 상징적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설부화용은 문학, 예술, 시적 표현뿐 아니라 미모를 찬미하는 수사적 언어로 자연스럽게 활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선우후락(先憂後樂)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중송백(雪中松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
설빈화안(雪鬢花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설망어검(舌芒於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선우후락(先憂後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서시빈목(西施嚬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