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궁지수(四窮之首)는 “네 가지 궁함(가난) 중 첫째”라는 뜻으로, 가난한 것들 중에서도 가장 궁핍한 상태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가난함의 극치, 생계가 막막한 최악의 상태를 표현합니다.
사궁지수 뜻
- 四(넷 사): 네 가지
- 窮(궁할 궁): 궁하다, 가난하다
- 之(갈 지): ~의
- 首(머리 수): 첫째, 으뜸
문자 그대로는 “네 가지 궁함 중 으뜸”, 즉, 가장 가난하고 궁핍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유래
사궁지수(四窮之首)는 중국 고전 《설원(說苑)》에서 유래합니다.
설원·귀신편(貴賤篇)》에 따르면, "사가(士家)는 사궁(四窮) 중 으뜸이다"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사가', 즉 선비나 학자는 돈벌이할 방법이 없어서 가장 궁핍한 직업으로 묘사되었습니다.
사궁(四窮)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 사가(士家) – 선비, 학자
- 백공(百工) – 장인
- 상인(商人) – 상인
- 농부(農夫) – 농사꾼
당시 사회에서 선비는 돈벌이보다 도덕과 학문에 집중했기 때문에 가장 궁핍하다고 여겼습니다.
예문
- 학문만을 좇던 그는 결국 사궁지수의 삶을 살았다.
- 돈보다 명예를 중시하는 선비는 늘 사궁지수로 살아야 했다.
- 지금의 취준생도 조선 시대라면 사궁지수라 불렸을 것이다.
- 그는 물질적 풍요는 없었지만, 사궁지수 속에서도 정신의 풍요를 지켰다.
주로 학문만을 추구해 생계가 어려운 상태, 또는 극도의 가난함을 비유할 때 사용합니다.
사궁지수 반대말
- 부귀영화(富貴榮華): 부유하고 귀하며 영화롭게 지냄
- 금의환향(金衣還鄕): 성공해서 고향으로 돌아옴
- 입신출세(立身出世):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함
사궁지수 유의어
- 청빈낙도(淸貧樂道): 가난하지만 도를 즐김
- 단사표음(簞食瓢飲): 소박한 밥과 물로 만족함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을 편안히 여기고 도를 즐김
모두 물질적 가난 혹은 청빈한 삶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사궁지수(四窮之首)는 단순히 가난을 넘어서, 가난함 속에서도 명예, 학문, 도덕적 가치를 지키는 선비 정신의 상징입니다.
오늘날에도 물질적 성공보다 정신적 가치, 학문, 양심을 선택하는 삶을 표현할 때 적합한 사자성어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생취의(捨生取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
사분오열(四分五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홍로상일점설(紅爐上一點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