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는 "한 사람의 지혜는 두 사람의 지혜를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혼자서 아무리 뛰어나도 여럿이 함께하는 지혜를 이길 수 없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즉, 협력과 협동의 중요성, 여럿이 모이면 더 나은 판단과 결과를 얻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일인불과이인지 뜻

  • 一人(일인): 한 사람
  • 不過(불과): 넘지 못하다, 초과하지 못하다
  • 二人智(이인지): 두 사람의 지혜

일인불과이인지는 “한 사람은 두 사람의 지혜를 이길 수 없다”, 즉, 혼자만의 생각보다는 여럿이 모인 지혜가 더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유래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는 중국 고전과 동양 지혜서에서 전해지는 속담형 사자성어입니다.

직접적으로 명확한 고사에서 유래된 것은 아니지만, 협력과 집단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양 문화의 가치관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어 온 표현입니다.

일인불과이인지는 현대에도 조직, 사회, 기업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말입니다.

 

예문

  • 아무리 천재라도 혼자서는 한계가 있다. 결국 일인불과이인지다.
  •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일인불과이인지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 프로젝트는 팀워크가 답이다. 일인불과이인지를 실감한다.
  • 혼자서는 보지 못하는 부분도 동료들과 함께하면 보인다. 일인불과이인지의 진리다.

일인불과이인지는 주로 협력, 집단 지혜, 공동 의사결정의 필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일인불과이인지일인불과이인지일인불과이인지

 

일인불과이인지 반대말

  • 독불장군(獨不將軍): 혼자서는 장군 노릇 못 한다 
  • 자만자족(自滿自足): 스스로 만족하며 남의 도움을 무시함

협력과 집단 지혜의 부재, 독단과 아집을 나타내는 표현이 반대 개념입니다.

 

일인불과이인지 유의어

  • 삼인성호(三人成虎): 세 사람이 함께 말하면 호랑이도 만들어지며, 여럿이 모이면 영향력이 큼
  • 십시일반(十匙一飯):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면 한 사람 먹을 밥이 되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함

 

끝맺음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는 단순한 격언이 아닌, 어떤 일이든 혼자보다는 여럿이 함께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는 강력한 교훈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일인불과이인지는 조직의 협업, 팀워크, 집단 의사결정, 브레인스토밍 등 모든 협업 과정에 반드시 적용되는 실질적인 진리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 ⭐

홍로상일점설(紅爐上一點雪) ⭐

철상철하(徹上徹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