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사생취의(捨生取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사생취의(捨生取義)는 “목숨을 버리고 의로움을 취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숨보다 정의, 의로움, 도리를 더 소중히 여긴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생명을 버려서라도 정의와 도리를 지키려는 결연한 자세를 나타냅니다.

 

사생취의(捨生取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사생취의 뜻

  • 捨(버릴 사): 버리다
  • 生(날 생): 삶, 목숨
  • 取(취할 취): 취하다, 선택하다
  • 義(옳을 의): 정의, 의로움, 도리

사생취의는 문자 그대로는 “목숨을 버리고 의를 취한다”, 즉, 목숨보다 정의와 도덕, 신념을 더 중시한다는 뜻입니다.

 

유래

사생취의(捨生取義)는 공자의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에서 유래합니다.

“君子義以為上。君子有勇而無義為亂, 小人有勇而無義為盜。”
(“군자는 의를 최상으로 삼는다. 군자가 의롭지 않고 용맹만 있다면 난폭해지고, 소인이 의롭지 않고 용맹만 있다면 도둑이 된다.”)

공자는 “군자는 의를 위해 죽음을 선택할 줄 안다.”라고 가르쳤습니다.
이것이 바로 사생취의, 즉 의로움을 위해 목숨도 버릴 수 있는 자세로 발전되었습니다.

 

예문

  • 선비들은 목숨보다 명예와 정의를 중시하는 사생취의의 정신으로 살았다.
  • 그는 국가를 위해 사생취의의 마음으로 모든 것을 바쳤다.
  • 부당한 권력 앞에서 사생취의의 결단을 내린 그의 용기는 존경받을 만하다.
  • 진정한 지도자는 사생취의의 정신으로 국민과 정의를 선택해야 한다.

사생취의는 정의, 도리, 신념을 위해 희생하거나 결단하는 상황에서 쓰입니다.

 

사생취의사생취의사생취의

 

사생취의 반대말 

  • 사리사욕(私利私欲): 개인의 이익과 욕심만 추구함
  • 견리망의(見利忘義): 이익을 보면 의를 잊음 

의로움보다 목숨과 이익을 더 중시하는 태도가 반대 개념입니다.

 

사생취의 유의어

  • 견위수명(見危授命): 위험을 보고 목숨을 바침, 공공의 정의를 위해 희생함
  • 살신성인(殺身成仁): “몸을 죽여 인을 이룬다”, 즉 자신을 희생해 인(仁)을 실천함
  • 멸사봉공(滅私奉公): 자신을 희생해 공공을 위해 봉사함

모두 자신의 목숨이나 이익보다 정의와 공공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끝맺음

사생취의(捨生取義)는 단순한 용기를 넘어서, 삶보다 도리, 목숨보다 정의, 개인보다 공동체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강력한 윤리적 선언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사생취의는 정의로운 선택, 윤리적 결단, 공공을 위한 희생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여전히 강력한 울림을 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사궁지수(四窮之首) ⭐

사분오열(四分五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