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약고구(良藥苦口)는 “좋은 약은 입에 쓰다”라는 뜻으로, 귀에 거슬리는 충고나 비판이지만 그것이 결국에는 자신에게 이롭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양악고구는 쓴 약이 병을 고치듯, 듣기 싫은 충언이 사람을 성장시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양약고구(良藥苦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약고구 뜻
- 良(좋을 양): 좋다, 훌륭하다
- 藥(약 약): 약
- 苦(쓸 고): 쓰다
- 口(입 구): 입
문자 그대로 양약고구는 “좋은 약은 입에 쓰다”, 즉, 귀에 거슬리는 말일지라도 결국 자신에게 이롭다는 뜻입니다.
유래
양약고구(良藥苦口)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을 고치고,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리지만 행동을 바로잡는다(良藥苦口利於病, 忠言逆耳利於行)”라는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쓴 약은 병을 고치고, 거슬리는 충언은 잘못을 고친다는 교훈입니다.
예문
양약고구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님의 꾸중은 양약고구처럼 나를 성장시켰다.
- 선배의 조언이 그때는 서운했지만 지금 생각하니 양약고구였다.
- 상사의 지적은 양약고구라 여기고 받아들여야 한다.
- 충언을 기쁘게 받아들이는 사람만이 양약고구의 가치를 알 수 있다.
양약고구 반대말
양약고구의 반대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언이설(甘言利說): 달콤한 말로 남을 꾀어 이롭게 하는 말
- 교언영색(巧言令色):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빛
양약고구 유의어
양약고구의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충언역이(忠言逆耳): 충언은 귀에 거슬린다
끝맺음
양약고구(良藥苦口)는 듣기 싫은 말일지라도 그것이 결국 자신에게 도움이 된다는 교훈을 담은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양약고구는 충고와 비판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애이불비(哀而不悲)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질호피(羊質虎皮)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10 |
---|---|
양육강식(養育強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10 |
양금택목(良禽擇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10 |
안중지정(眼中之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09 |
안분지족(安分知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