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택목(良禽擇木)은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앉는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고 받아줄 만한 곳을 가려서 선택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능력 있는 사람은 자신을 제대로 평가해주고 쓸 만한 곳을 신중히 선택한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오늘은 양금택목(良禽擇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금택목 뜻
- 良(좋을 양): 훌륭한
- 禽(새 금): 새
- 擇(가릴 택): 고르다, 선택하다
- 木(나무 목): 나무
문자 그대로 양금택목은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앉는다”, 즉, 뛰어난 사람은 마땅히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을 신중히 선택함을 의미합니다.
유래
양금택목(良禽擇木)은 중국 고전 《한서(漢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옛날 학자들이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선택하여 깃들고,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을 알아주는 군주를 선택한다”고 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로부터 능력 있는 사람은 자신을 제대로 평가하고 받아줄 만한 사람이나 조직을 골라야 한다는 교훈이 전해졌습니다.
예문
양금택목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더 좋은 기회를 찾아 양금택목의 길을 택했다.
- 능력 있는 인재일수록 양금택목할 줄 알아야 한다.
- 양금택목이라 했듯이, 좋은 사람은 자신을 알아주는 곳을 택한다.
- 그는 자신의 실력을 알아줄 회사를 찾기 위해 양금택목했다.
양금택목 반대말 사자성어
양금택목의 반대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화뇌동(附和雷同): 무턱대고 남의 의견에 따라감
끝맺음
양금택목(良禽擇木)은 단순한 선택을 넘어서, 현명한 사람일수록 자신을 알아보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을 가려 선택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양금택목은 직장·인맥·파트너 등을 선택할 때 신중함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암중모색(暗中摸索)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육강식(養育強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10 |
---|---|
양약고구(良藥苦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10 |
안중지정(眼中之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09 |
안분지족(安分知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9 |
아연실색(啞然失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