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안분지족(安分知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안분지족(安分知足)은 “자기 분수를 지키고 만족할 줄 안다”는 뜻으로, 현재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며 분수에 맞게 살아가는 것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안분지족은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않고 마음의 평화를 지키는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안분지족(安分知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안분지족 뜻

  • 安(편안할 안): 편안하다
  • 分(나눌 분): 분수, 처지
  • 知(알 지): 알다
  • 足(족할 족): 만족하다

문자 그대로 안분지족은 “분수를 편안히 지키고 만족할 줄 안다”, 즉, 자신의 처지를 받아들이고 만족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유래

안분지족(安分知足)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된 말로, 유가(儒家) 사상에서는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고, 자신의 분수에 맞는 삶을 사는 것이 덕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안분지족은 불교에서는 탐욕을 버리고 만족할 줄 아는 삶을 이상적인 태도로 보았습니다.

 

예문

안분지족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비록 가난했지만 안분지족하며 행복하게 살았다.
  • 현대 사회에서 안분지족의 마음가짐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 안분지족하는 삶이야말로 진정한 평안이다.
  • 사람은 안분지족할 줄 알아야 불행하지 않다.

 

안분지족안분지족안분지족

 

안분지족 반대말

안분지족의 반대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탐욕무도(貪欲無道): 끝없는 욕심으로 도리를 어김

 

안분지족 유의어

안분지족의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족상락(知足常樂):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 항상 즐겁다
  • 소욕지족(少欲知足): 욕심을 줄이고 만족할 줄 앎

 

끝맺음

안분지족(安分知足)은 욕심을 버리고 현재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마음가짐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안분지족은 마음의 평화와 만족을 찾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십일지국(十日之菊) ⭐

아수라장(阿修羅場) ⭐

아연실색(啞然失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