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불성설(語不成說)은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말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논리가 통하지 않는 말을 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어불성설은 말이 불합리하거나 일관성이 없는 경우를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어불성설(語不成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불성설 뜻
- 語(말씀 어): 말
- 不(아닐 불): 아니다
- 成(이룰 성): 이루다
- 說(말씀 설): 말, 이야기
문자 그대로 어불성설은 “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논리나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할 때를 뜻합니다.
유래
어불성설(語不成說)은 고대 중국의 문헌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말이나 주장에 논리적 모순이 있거나 앞뒤가 맞지 않아서 성립할 수 없는 말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어불성설은 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성립되지 않는 경우를 묘사하는 말입니다.
예문
어불성설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의 말은 어불성설이라서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 그 발언은 어불성설이었다. 앞뒤가 맞지 않아서 논리적으로 성립할 수 없다.
- 어불성설인 주장을 계속해서 반복하지 말고, 합리적인 설명을 하라.
- 그녀는 어불성설을 하고 있었고, 그 말에 대답할 필요도 없었다.
어불성설 반대말
어불성설의 반대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목요연(一目瞭然): 한눈에 분명하게 알 수 있음
- 논리정연(論理正然): 논리가 정연하고 이치에 맞음
어불성설 유의어
어불성설의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문곡직(不問曲直): 옳고 그름을 묻지 않음
끝맺음
어불성설(語不成說)은 논리적 모순이나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을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어불성설은 말이 불합리하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 경우를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양약고구(良藥苦口)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질호피(羊質虎皮)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10 |
---|---|
양육강식(養育強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10 |
양약고구(良藥苦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10 |
양금택목(良禽擇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10 |
안중지정(眼中之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