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상분지도(桑盆之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상분지도(桑盆之道)는 “뽕나무 화분의 도리”라는 뜻으로,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 또는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상분지도는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도리에 맞지 않는 억지스러운 행동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상분지도(桑盆之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상분지도 뜻

  • 桑(뽕나무 상): 뽕나무
  • 盆(화분 분): 화분, 대야
  • 之(갈 지): ~의
  • 道(길 도): 도리, 이치

문자 그대로 상분지도는 “뽕나무 화분의 도리”, 즉, 뽕나무는 큰 나무로 자라야 하는데 화분 속에 심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라는 의미입니다.

상분지도는 억지스럽고 무리한 처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비유합니다.

 

유래

상분지도(桑盆之道)는 중국 고전 《장자(莊子)》에서 유래합니다.

장자는 자연의 이치와 본성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큰 나무는 넓은 들에 있어야 하고, 작은 식물은 화분 속에서 자라야 한다.”
뽕나무처럼 크게 자라는 나무를 좁은 화분 속에 넣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것(상분지도)이라고 비유합니다.

즉, 상분지도는 사람도 각자의 본성에 맞게 살아야지 억지로 규제하거나 본성을 거스르는 삶은 올바르지 않다는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예문

  • 각자의 능력과 성향에 맞는 역할을 줘야지, 그렇지 않으면 상분지도가 된다.
  • 그에게 저런 소심한 일을 맡기는 건 마치 상분지도 같은 일이다.
  •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는 정책은 결국 상분지도가 될 수밖에 없다.
  • 무리한 규제는 상분지도와 다를 바 없다.

상분지도는 이치에 어긋난 일,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상분지도상분지도상분지도

 

상분지도 반대말

  • 천리순응(天理順應): 자연의 이치에 순응함
  • 이치상달(理致詳達): 도리에 맞고 자세히 통함
  • 적재적소(適材適所): 적합한 인재를 적절한 자리에 씀, 매우 직설적인 반대 개념

자연스럽고 도리에 맞는 일, 혹은 상황에 맞는 처사가 반대 개념입니다.

 

상분지도 유의어

  • 역천자멸(逆天自滅):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면 스스로 멸망함
  • 본말전도(本末顚倒): 일의 근본과 말단이 뒤바뀜 
  •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도 모자란 것과 같음

도리에 맞지 않고 억지스럽거나 균형이 무너진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상분지도(桑盆之道)는 단순히 부자연스러운 것을 넘어서, 사람과 사물은 각자의 본성과 역할에 맞게 있어야 하며, 이를 억지로 바꾸면 도리에 어긋나고 결국 실패한다는 강력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상분지도는 인사 배치, 조직 운영, 정책, 삶의 가치에 대해 매우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표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상루하습(上漏下濕) ⭐

상마지교(桑麻之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