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상마지교(桑麻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상마지교(桑麻之交)는 “뽕나무와 삼을 심는 사이”라는 뜻으로, 자연스럽고 소박하며 평범한 이웃 간의 정다운 교제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상마지교는 서로 화려하거나 특별하지는 않지만, 매우 평범하고 다정한 이웃 관계 또는 오랜 친구 관계를 비유합니다.

 

상마지교(桑麻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상마지교 뜻

  • 桑(뽕나무 상): 뽕나무, 농경 생활의 상징
  • 麻(삼 마): 삼, 생활용 섬유 재료, 생업의 상징
  • 之(갈 지): ~의
  • 交(사귈 교): 교제, 사귐

문자 그대로 상마지교는 “뽕나무와 삼을 심으며 사귀는 사이”, 즉, 농사를 지으며 이웃끼리 자연스럽고 다정하게 사귀는 관계를 뜻합니다.

 

유래

상마지교(桑麻之交)는 중국의 고전 《논어(論語)》 또는 《맹자(孟子)》 등의 유교 경전과 농경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표현입니다.

뽕나무와 삼을 심는 것은 당시 평범한 농가의 일상적인 삶이었기 때문에, 화려하거나 이익을 추구하는 관계가 아닌, 소박하고 자연스럽게 맺어진 이웃 간의 친밀한 정을 나타내는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 시골에서는 아직도 상마지교 같은 정겨운 이웃 관계가 남아 있다.
  • 두 사람은 어린 시절부터 상마지교를 나누며 함께 자랐다.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상마지교 같은 관계는 점점 사라져 간다.
  • 그는 이웃과의 상마지교를 무엇보다 소중히 여겼다.

상마지교는 소박하고 따뜻한 이웃 관계, 또는 오랜 친구 관계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상마지교 상마지교 상마지교

 

상마지교 반대말

  • 이합집산(離合集散): 이익에 따라 모였다 흩어지는 관계
  • 각자도생(各自圖生): 각자 살아갈 길만 도모하는 관계

서로 따뜻하지 않고, 인위적이거나 무관심한 관계가 반대 개념입니다.

 

상마지교 유의어

  • 금란지교(金蘭之交):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매우 두터운 우정
  • 지란지교(芝蘭之交): 지초와 난초처럼 고결한 우정
  • 죽마고우(竹馬故友):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어린 시절 친구, 오랜 친구

모두 순수하고, 소박하며, 변함없는 우정과 이웃 간의 따뜻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상마지교(桑麻之交)는 단순히 친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화려하지 않고 이익도 따지지 않는, 자연스럽고 소박한 이웃 간의 우정과 정을 상징하는 매우 따뜻한 표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상마지교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정겨운 이웃 공동체, 오래된 친구의 따뜻함을 되새기게 하는 말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삼척동자(三尺童子) ⭐

상루하습(上漏下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