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는 "물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완벽을 추구하면 사람이 따르지 않는다,

관용과 포용이 없는 곳엔 큰 인재나 인물이 모이지 않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수청무대어 뜻 

  • 水(물 수): 물
  • 淸(맑을 청): 맑다
  • 無(없을 무): 없다
  • 大魚(큰 물고기 대어): 큰 물고기, 큰 인재

문자 그대로 수청무대어는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 즉, 너무 지나치게 깨끗하고 엄격하면 인재가 떠난다는 의미입니다.

수청무대어는 조직, 사회, 공동체에서 너무 완벽만을 추구하면 포용력이 떨어지고 사람이 모이지 않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에서 유래합니다.

한비자는 법가 사상가로, 법과 질서를 중시했지만, 지나치게 엄격한 법치가 오히려 사람을 몰아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며 수청무대어를 사용합니다.

즉,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살 수 없듯, 지나친 청렴이나 엄격함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어 인재가 모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예문

  • 그는 너무 완벽을 요구해 팀원들이 부담스러워한다. 정말 수청무대어다.
  • 지도자는 어느 정도의 포용력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청무대어처럼 사람이 떠난다.
  • 원리원칙도 중요하지만, 때론 융통성이 필요하다. 안 그러면 수청무대어가 된다.
  • 법이 지나치게 엄격하면 국민이 피곤해진다. 수청무대어라는 말처럼 말이다.

수청무대어는 조직 운영, 리더십, 인간관계 등에서 균형과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수청무대어수청무대어수청무대어

 

수청무대어 반대말

  • 대인대용(大人大容): 큰 사람은 크게 포용한다
  • 홍익인간(弘益人間):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관용과 포용, 유연함으로 인재를 끌어모으는 상태입니다.

 

수청무대어 유의어

  • 수청무어(水淸無魚):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조차 없다", 포용력 없는 조직이나 관계에서는 아무도 남지 않는다는 뜻으로,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에서 ‘대(大)’가 빠진 형태지만 의미는 사실상 동일합니다.

이 표현은 현대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는 단순히 깨끗함의 미덕을 넘어서, 포용력의 중요성과 지나친 완벽주의가 얼마나 사람을 힘들게 하는지를 일깨워줍니다.

수청무대어는 조직, 리더,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교훈으로, 완벽보다 배려와 유연함이 더 큰 성과를 만든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