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는 “하루가 삼 년처럼 길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몹시 그리워하는 간절한 마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잠깐의 이별조차도 매우 길게 느껴지는 애틋한 감정을 표현합니다.
일일여삼추 뜻
- 一(한 일): 하나, 하루
- 日(날 일): 날, 하루
- 如(같을 여): ~와 같다
- 三秋(삼추): 세 번의 가을 → 세 해 → 긴 시간
문자 그대로는 “하루가 세 번의 가을처럼 길다”, 즉, 사랑하는 사람을 간절히 그리워해서 하루조차도 삼 년처럼 느껴지는 마음입니다.
유래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는 《시경(詩經)》 소아(小雅)편에서 유래합니다.
“相去日已遠 衣帶日已緩 思君如三秋”
(“서로 떨어진 지 날로 멀어지니, 옷 띠는 점점 느슨해지고, 그대를 생각하는 마음은 세 번의 가을처럼 간절하다.”)
여기서 “여삼추(如三秋)”라는 표현이 파생되었으며,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는 후대 문학과 시에서 자연스럽게 굳어진 표현입니다.
예문
- 사랑하는 사람이 떠난 뒤 그의 하루는 일일여삼추처럼 길고도 힘들었다.
- 연인을 기다리는 그녀는 일일여삼추의 심정으로 매일 창밖을 바라보았다.
- 몇 시간밖에 떨어지지 않았지만, 마치 일일여삼추 같았다.
- 그는 군에 간 아들을 생각하며 일일여삼추의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보냈다.
간절한 그리움과 애틋함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일일여삼추 반대말
- 일각천금(一刻千金): 한 순간이 천금처럼 소중하다
- 광음여전(光陰如箭): 세월이 화살처럼 빠르다
시간이 더디게 흐르는 간절한 기다림의 반대 개념은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는 즐거움입니다.
일일여삼추 유의어
- 일일삼추(一日三秋): “하루가 삼 년 같다”,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와 완전히 동일한 의미와 쓰임
- 일각여심추(一刻如三秋): “한 순간이 세 번의 가을 같다”, 더 극단적인 그리움
끝맺음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는 단순한 그리움을 넘어서, 사랑하는 사람을 간절히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절절한 마음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에도 일일삼추, 일각여심추, 망연여실과 함께 연애 편지, 시, 노래 가사, 연설문 등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일각여심추(一刻如三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