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은 "얼음과 숯은 서로 어울릴 수 없다"는 뜻으로, 본질적으로 서로 상반되거나 절대 화합할 수 없는 관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빙탄불상용 뜻
- 氷(얼음 빙): 얼음
- 炭(숯 탄): 숯
- 不(아닐 불): 아니다
- 相容(서로 용납할 상, 담을 용): 서로 받아들이다, 서로 용납하다
문자 그대로 빙탄불상용은 “얼음과 숯은 서로 용납하지 않는다”, 즉 성질이 정반대라 절대 공존할 수 없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유래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얼음과 숯이 본질적으로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같이 존재하면 서로를 파괴한다는 물리적 비유에서 발전했습니다.
이후 빙탄불상용은 서로 대립하거나 양립 불가능한 관계, 혹은 극도로 사이가 나쁜 관계를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정착되었습니다.
예문
- 두 사람은 마치 빙탄불상용처럼 도무지 화해할 수 없는 사이였다.
- 회사 내 갈등은 점점 빙탄불상용으로 치닫고 있다.
- 성격이 워낙 반대라서 그들은 처음부터 빙탄불상용의 관계였다.
- 적대적인 두 국가는 빙탄불상용처럼 협력은커녕 끊임없이 대립했다.
빙탄불상용은 주로 사람 사이의 불화, 조직 간의 갈등, 국가 간의 대립 등에서 사용합니다.
빙탄불상용 반대말
- 수락상친(水落相親): 물처럼 서로 잘 어울림
- 화이부동(和而不同): 조화를 이루되 똑같지는 않음
- 상생상부(相生相扶): 서로 도우며 함께 살아감
- 금슬지락(琴瑟之樂): 부부나 관계가 매우 화목함
서로 조화롭게 잘 지내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빙탄불상용 유의어
다음 사자성어들이 빙탄불상용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 하늘을 함께 이고 살 수 없는 원수, 즉 절대 용서할 수 없는 극악한 원수 관계
- 견원지간(犬猿之間): 개와 원숭이 같은 사이, 상극인 사이, 늘 다투고 으르렁거리는 관계
- 빙탄지간(氷炭之間): 얼음과 숯 같은 관계, 본질적으로 서로 대립하여 공존할 수 없는 상태
모두 상극 관계, 화해 불가능한 관계, 본질적 대립 상태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은 단순히 성격 차이 이상의 의미로, 서로가 존재 자체로 상대에게 해가 될 만큼 양립 불가능한 관계를 묘사합니다.
불구대천지수, 견원지간, 빙탄지간 모두 같은 맥락의 강력한 대립과 적대의 관계를 나타내며, 사람 사이뿐 아니라, 국가 간, 조직 간, 혹은 이념 간의 첨예한 대립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
빙자옥질(氷姿玉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
빙공영사(憑公營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7.02 |
빈이무원(貧而無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