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연실색(啞然失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by 지식곳간

아연실색(啞然失色)은 “말을 잃고 얼굴빛이 사라진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거나 당황하여 말문이 막히고 얼굴빛이 변하는 것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아연실색은 예상치 못한 일에 충격을 받아 순간적으로 아무 말도 못 하고 얼굴이 하얗게 질리는 모습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아연실색(啞然失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오늘은 아연실색(啞然失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연실색 뜻

  • 啞(벙어리 아): 말이 막혀 소리를 못 냄
  • 然(그러할 연): 그러한 상태
  • 失(잃을 실): 잃다
  • 色(빛 색): 얼굴빛, 안색

문자 그대로 아연실색은 “말이 막히고 얼굴빛을 잃는다”, 즉, 크게 놀라거나 당황해 말도 못 하고 얼굴빛이 변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유래

아연실색(啞然失色)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예상치 못한 일이나 큰 충격을 받아 순간적으로 “벙어리가 된 듯 말문이 막히고 얼굴빛마저 사라진 상태”를 묘사했습니다.

현재 아연실색은 놀라움·당황·두려움 등으로 아무 말도 못 하고 멍하니 있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쓰입니다.

 

예문

아연실색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작스러운 질문에 그는 아연실색하여 말문을 잃었다.
  • 사고 소식을 들은 가족들은 모두 아연실색했다.
  • 팀장의 호통에 직원들이 아연실색한 표정으로 서 있었다.
  • 그녀는 뜻밖의 고백에 아연실색하며 얼굴을 붉혔다.

 

아연실색아연실색아연실색

 

아연실색 반대말 사자성어

아연실색의 반대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태연자약(泰然自若): 아무 일 없는 듯 침착하고 태연함

 

끝맺음

아연실색(啞然失色)은 놀람이나 당황, 두려움으로 말문이 막히고 얼굴빛이 변하는 상태를 생생히 묘사한 표현입니다.
오늘날에도 아연실색은 깜짝 놀라거나 충격받아 아무 말 못 하는 상황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십시일반(十匙一飯) ⭐

십일지국(十日之菊) ⭐

아수라장(阿修羅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