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은 "오랑캐의 말은 북풍을 따른다"는 뜻으로, 자신이 태어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난 곳, 자란 곳, 본래의 고향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호마의북풍 뜻

  • 胡(오랑캐 호): 북쪽 변방 사람, 오랑캐
  • 馬(말 마): 말
  • 依(의지할 의): 따르다, 의지하다
  • 北風(북쪽 북, 바람 풍): 북풍,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문자 그대로 호마의북풍은 “북쪽의 말은 북쪽 바람을 따른다”, 즉, 북쪽 지역(고향)에서 온 말은 북풍이 불면 본능적으로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은 중국 고대 시경(詩經)의 구절에서 유래합니다.

《시경·소아(小雅)》의 구절 중,

“胡馬依北風 越鳥巢南枝”
(“오랑캐의 말은 북풍을 따르고, 월나라의 새는 남쪽 가지에 둥지를 튼다.”)

이는 누구나 자신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본능적이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 그는 수십 년을 타향에서 살았지만 여전히 호마의북풍처럼 고향을 잊지 못한다.
  • 해외에 오래 살아도 호마의북풍의 마음은 변치 않는다.
  • 부모님은 늘 고향 생각에 호마의북풍의 심정으로 살아가신다.
  • 타국에서도 매년 명절이 되면 호마의북풍처럼 고향의 가족을 그리워했다.

호마의북풍은 고향, 본향, 뿌리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호마의북풍호마의북풍호마의북풍

 

호마의북풍 반대말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저버리고 덕을 잊음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과는 반대되는 의미입니다.

 

호마의북풍 유의어

  • 호사수구(狐死首丘): "여우는 죽을 때 머리를 언덕으로 돌린다", 죽을 때조차 고향을 그리워함
  • 수구초심(首丘初心): "언덕을 바라보는 처음 마음", 고향을 잊지 않는 본심,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

두 표현 모두 호마의북풍과 동일하게 고향, 뿌리, 본래의 마음을 그리워하는 본능적인 정서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은 단순한 고향 그리움 이상의 뜻으로,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뿌리, 근원, 본향에 대한 강한 애착과 그리움을 상징합니다.

호마의북풍은 호사수구, 수구초심과 더불어 현대에도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특히 명절, 귀향, 고향 관련 글, 시, 연설에서 깊은 울림을 주는 사자성어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일각여심추(一刻如三秋)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