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부필부(匹夫匹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사회 속 수많은 사람들, 그중에서 이름 없이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 있습니다.바로 사자성어 필부필부(匹夫匹婦)입니다. 오늘은 필부필부(匹夫匹婦)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필부필부 뜻필부필부(匹夫匹婦)는 보통의 평범한 남자와 여자, 즉 이름 없는 일반 서민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匹(짝 필): 일반적인, 평범한夫(사내 부): 남자婦(아낙네 부): 여자즉, 필부필부는 특별한 신분이나 지위 없이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을 이르는 표현입니다. 필부필부는 현대어로 바꾸면 ‘서민’, ‘평범한 사람들’, ‘대중’이라는 의미와 유사합니다. 유래필부필부는 고대 중국에서 평민 남녀를 지칭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특히, 유가 사상에서는 백성과 민중의 의견..
필부지용(匹夫之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조심성 없이 앞뒤 가리지 않고 나서는 용기, 그것은 진정한 용기라기보다 미련함에 가까운 행동일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그러한 성격의 용기를 가리키는 사자성어 필부지용(匹夫之勇)에 대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필부지용 뜻필부지용(匹夫之勇)은 평범한 남자의 무모한 용기를 뜻하는 사자성어로, 신중하지 못하고 경솔하게 나서는 용기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匹(짝 필): 평범한 사람, 일반 남자夫(지아비 부): 사내, 남자之(갈 지): ~의勇(날랠 용): 용기즉, 필부지용은 사려 깊지 않은 감정적 충동의 용기를 의미하며, 주로 무모한 돌진, 분별 없는 분노를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필부지용은 중국 춘추시대 『좌전(左傳)』에 나오는 말로, 공자가 제자 자로(子路)의 무모한 태도를..
표리일체(表裏一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겉과 속이 같고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은 누구에게나 신뢰를 얻기 마련입니다.이런 진실된 태도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가 바로 표리일체(表裏一體)입니다. 오늘은 표리일체(表裏一體)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표리일체 뜻표리일체(表裏一體)는 겉과 속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로, 사람의 겉모습과 속마음이 같아 거짓이 없는 태도를 가리키는 사자성어입니다.表(겉 표): 겉, 외면裏(속 리): 속, 내면一(한 일): 하나體(몸 체): 몸, 전체즉, 표리일체는 겉과 속이 다르지 않고 일관된 사고와 행동을 지닌 성실하고 진실한 사람의 자세를 나타냅니다. 유래표리일체는 중국 고대 사상에서 유래하였으며, 유가(儒家) 사상에서 성실함, 진실성, 정직함의 덕목을 강조할 때 사용되..
표사유피(豹死有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죽음 이후에도 이름을 남기는 삶, 그것이 곧 인간의 도리라는 말이 있습니다.표사유피(豹死有皮)는 바로 이러한 명예와 정신적 유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표사유피(豹死有皮)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표사유피 뜻표사유피(豹死有皮)는 표범은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는 의미로, 사람은 죽은 뒤에도 명예를 남겨야 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豹(표범 표): 표범死(죽을 사): 죽다有(있을 유): 있다皮(가죽 피): 가죽즉, 표사유피는 동물은 죽어서 물리적 가치를 남기지만, 사람은 도덕적 가치를 남겨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유래표사유피는 중국 고전 『사기(史記)』와 후한서(後漢書) 등에서 언급됩니다.표범이나 호랑이는 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