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하로동선(夏爐冬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쓸모 있는 시기를 놓치면 무의미해질 수 있습니다. 사자성어 하로동선(夏爐冬扇)은 이런 상황을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로동선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하로동선 뜻하로동선(夏爐冬扇)은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즉 시기나 상황에 맞지 않아 아무 소용없는 것을 의미합니다.夏(여름 하): 여름爐(화로 로): 난방 도구, 불을 담는 화로冬(겨울 동): 겨울扇(부채 선): 더위를 식히는 부채여름에 화로는 무용지물이듯, 적절한 시기를 놓친 물건이나 말, 행동은 아무리 좋아도 가치가 없다는 뜻입니다. 유래하로동선은 당송 시기의 고문(古文)에서 등장하며, 시기와 상황에 따른 유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고전문헌에서는 ‘물은 제..
하갈동구(夏葛冬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사람은 시기와 상황에 맞는 행동을 해야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사자성어 하갈동구(夏葛冬裘)는 계절에 맞는 옷처럼, 때에 알맞은 처신과 선택을 뜻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갈동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하갈동구 뜻하갈동구(夏葛冬裘)는 여름에는 베옷(葛)을, 겨울에는 털옷(裘)을 입는다는 뜻으로, 시기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처신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夏(여름 하): 여름葛(칡 베 갈): 여름에 입는 얇은 베옷冬(겨울 동): 겨울裘(가는 털 구): 겨울에 입는 털옷즉, 하갈동구는 더울 때는 시원한 옷을, 추울 때는 따뜻한 옷을 입듯,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유래하갈동구는 유교 경전 및 고대 문헌에서 ‘때..
필부필부(匹夫匹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사회 속 수많은 사람들, 그중에서 이름 없이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 있습니다.바로 사자성어 필부필부(匹夫匹婦)입니다. 오늘은 필부필부(匹夫匹婦)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필부필부 뜻필부필부(匹夫匹婦)는 보통의 평범한 남자와 여자, 즉 이름 없는 일반 서민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匹(짝 필): 일반적인, 평범한夫(사내 부): 남자婦(아낙네 부): 여자즉, 필부필부는 특별한 신분이나 지위 없이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을 이르는 표현입니다. 필부필부는 현대어로 바꾸면 ‘서민’, ‘평범한 사람들’, ‘대중’이라는 의미와 유사합니다. 유래필부필부는 고대 중국에서 평민 남녀를 지칭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특히, 유가 사상에서는 백성과 민중의 의견..
필부지용(匹夫之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조심성 없이 앞뒤 가리지 않고 나서는 용기, 그것은 진정한 용기라기보다 미련함에 가까운 행동일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그러한 성격의 용기를 가리키는 사자성어 필부지용(匹夫之勇)에 대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필부지용 뜻필부지용(匹夫之勇)은 평범한 남자의 무모한 용기를 뜻하는 사자성어로, 신중하지 못하고 경솔하게 나서는 용기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匹(짝 필): 평범한 사람, 일반 남자夫(지아비 부): 사내, 남자之(갈 지): ~의勇(날랠 용): 용기즉, 필부지용은 사려 깊지 않은 감정적 충동의 용기를 의미하며, 주로 무모한 돌진, 분별 없는 분노를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필부지용은 중국 춘추시대 『좌전(左傳)』에 나오는 말로, 공자가 제자 자로(子路)의 무모한 태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