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정이불박(情而不剝)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정이불박(情而不剝)은 정이 있지만 상대에게 해가 되지 않게 한다는 뜻으로, 따뜻한 감정을 지녔지만 이성적인 선을 지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정이불박의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정이불박 뜻情(정 정): 감정, 정而(말이을 이): ~하지만不(아닐 불): 아니하다剝(벗길 박): 해치다, 깎다, 벗기다정이불박(情而不剝)은 감정은 있으나 그것이 상대를 해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음을 뜻합니다.즉, 정이불박은 애정과 친절이 넘치더라도 도를 넘지 않는 절제된 태도, 이성적인 배려심을 갖춘 상태를 나타냅니다. 유래정이불박은 유교적 가치관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감정이 넘쳐도 도리와 규범을 해치지 않는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표현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특히, 정이불박은 가족,..
전정만리(前程萬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전정만리(前程萬里)는 앞날의 길이 만 리처럼 멀고 넓다는 뜻으로, 미래가 밝고 유망하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정만리의 정확한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그리고 유의어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정만리 뜻前(앞 전): 앞, 미래程(길 정): 길, 여정萬(일만 만): 수많음里(마을 리): 거리 단위전정만리(前程萬里)는 "앞으로 나아갈 길이 만 리처럼 멀리 뻗어 있다"는 의미로, 장래가 밝고 전망이 좋음을 나타냅니다.전정만리는 미래가 창창한 사람이나 사업, 여정 등에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 유래 전정만리는 중국 고전에서 여정을 길고 멀리 내다보는 의미로 사용된 표현에서 유래하였으며, 한자의 조합만으로도 의미가 명확한 자립적인 사자성어입니다.오늘날에 전정만리는 축사나 격려사 등에서 자주 ..
전전불매(輾轉不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전전불매(輾轉不寐)는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상태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걱정, 근심, 슬픔, 또는 사랑 등으로 인해 밤새 잠 못 이루는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오늘은 전전불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전전불매 뜻輾(구를 전): 뒤척이다轉(구를 전): 돌다, 방향을 바꾸다不(아닐 불): ~하지 않다寐(잠잘 매): 잠들다전전불매(輾轉不寐)는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들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흔히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마음이 복잡하여 잠을 설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유래『시경(詩經)』에 나오는 표현에서 유래했습니다. 고대 중국의 시에서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 전쟁으로 인한 고통 등으로 인해 잠 못 이루는 심정을 묘사할 때 등장한 구절로, 후대에 이 ..
적토성산(積土成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적토성산(積土成山)은 흙을 쌓아 산을 이룬다는 의미로, 작은 노력이라도 계속되면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적토성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적토성산 뜻積(쌓을 적): 축적하다土(흙 토): 흙, 진흙成(이룰 성): 이루다山(뫼 산): 산적토성산(積土成山)은 “흙을 쌓으면 산이 된다”는 의미로, 아무리 미미한 노력이라도 지속적으로 이어지면 마침내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유래적토성산은 고대 중국의 철학서인 《순자(荀子)》 권학편에 등장합니다."적토성산, 적수성하(積土成山, 積水成河)"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흙을 쌓아 산을 이루고, 물을 모아 강을 만든다는 의미로, 끈기 있는 노력을 강조합니다. 예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