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빙공영사(憑公營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by 지식곳간

빙공영사(憑公營私)는 공적인 권력을 이용해 사적인 이익을 챙긴다는 뜻으로, 공적 지위를 사적으로 남용하거나, 공적인 일을 가장해 사사로운 이익을 도모하는 부정행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빙공영사(憑公營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빙공영사 뜻

  • 憑(기댈 빙): 의지하다, 기대다
  • 公(공평할 공): 공적인 것, 국가, 조직, 공권력
  • 營(경영할 영): 경영하다, 도모하다, 운영하다
  • 私(사사로울 사): 사적인 이익, 개인의 욕심

빙공영사는 문자 그대로는 “공적인 것에 의지해 사적인 이익을 경영한다”는 뜻입니다.
즉, 빙공영사는 공적 권한을 사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 공적인 지위를 이용해 사리사욕을 채우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유래

빙공영사(憑公營私)는 특정 고전에서 직접 등장하는 고사성어는 아닙니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에서 관료 사회나 권력층의 부정부패, 직권 남용, 공금 유용, 이권 개입 등을 비판하는 말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오늘날에도 빙공영사는 뉴스, 정치, 사회적 담론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예문

빙공영사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공무원의 지위를 이용해 사적인 거래를 한 전형적인 빙공영사의 사례다.
  • 빙공영사는 공직자 윤리에서 가장 강력하게 금지되는 행위다.
  • 어떤 권력도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고 빙공영사에 빠진다면 반드시 몰락한다.
  • 최근 드러난 비리는 모두 빙공영사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주로 부정부패, 권력 남용, 공금 유용, 이권 개입 등의 부정적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빙공영사빙공영사빙공영사

 

빙공영사 반대말 사자성어

빙공영사의 반대는 공과 사를 명확히 구분하고, 청렴하며 공정하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 공정무사(公正無私):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음

 

끝맺음

빙공영사(憑公營私)는 단순한 이익 추구를 넘어, 공공의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하는 심각한 비윤리적 행위를 강하게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정치, 기업, 행정 등 모든 조직에서 반드시 경계해야 할 부정의 근원이며, 사회의 신뢰와 공정을 훼손하는 대표적인 비윤리적 태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비익연리(比翼連理) ⭐

빈이무원(貧而無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