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빙자옥질(氷姿玉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빙자옥질(氷姿玉質)은 “얼음 같은 맑은 모습과 옥 같은 고운 본질”이라는 뜻으로, 겉모습도 아름답고, 마음씨나 성품도 매우 고결하고 맑은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외모와 내면이 모두 아름답고 고결한 인물에게 쓰입니다.

 

빙자옥질(氷姿玉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빙자옥질 뜻 

  • 氷(얼음 빙): 얼음(맑고 깨끗함의 상징)
  • 姿(맵시 자): 자태, 외모, 모습
  • 玉(옥 옥): 옥(순수함, 고귀함의 상징)
  • 質(바탕 질): 본질, 마음씨, 성품

문자 그대로 빙자옥질은 "얼음처럼 맑고 투명한 모습과 옥처럼 고귀하고 순수한 본질"을 뜻합니다.
빙자옥질은 외모는 단아하고 맑으며, 성품은 고결하고 순수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유래

빙자옥질(氷姿玉質)은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문학적으로는 매화(梅花)를 찬미하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매화는 추운 겨울에도 깨끗하고 우아하게 피는 꽃으로, 그 모습이 얼음처럼 맑고, 그 본질은 옥처럼 고결하다는 의미에서 빙자옥질이라는 표현이 생겼습니다.

이후 매화의 고결함뿐 아니라, 여성의 단아함, 혹은 사람의 인품과 외모의 조화로움을 상징하는 말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문

빙자옥질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녀는 정말로 빙자옥질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사람이다.
  • 매화는 혹한 속에서도 피어나니, 그 모습이야말로 진정 빙자옥질이다.
  • 겉모습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마음까지 아름다운 그녀는 참으로 빙자옥질 그 자체였다.
  • 그는 단정한 외모와 고결한 성품으로 모두에게 빙자옥질이라 불렸다.

주로 외적 아름다움과 내적 고결함을 동시에 갖춘 인물을 칭찬하거나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빙자옥질빙자옥질빙자옥질

 

빙자옥질 반대말

빙자옥질의 반대는 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그렇지 않거나, 외모와 성품 모두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다름
  •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 말과 행동이 다름

 

빙자옥질 유의어

빙자옥질과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군자지풍(君子之風): 군자다운 품격
  • 화용월태(花容月態): 꽃 같은 얼굴과 달 같은 자태 
  • 설중송백(雪中松柏):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
  • 천향국색(天香國色): 나라 안에서 으뜸가는 아름다움

모두 외적 아름다움과 내적 고결함을 동시에 칭찬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빙자옥질(氷姿玉質)은 단순히 아름다운 외모만을 칭찬하는 것이 아닙니다.
외모는 단아하고 맑으며, 마음은 고결하고 순수한 사람을 뜻합니다.
오늘날에도 문학, 편지글, 연설, 시 등에서 사람의 품격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빈이무원(貧而無怨) ⭐

빙공영사(憑公營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