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시시비비(是是非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지식곳간

시시비비(是是非非)는 “옳고 그름”이라는 뜻으로,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를 분명하게 가리거나, 옳고 그름에 대해 따지고 다투는 것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시시비비는 사안의 진위를 밝히거나, 옳고 그름에 대해 논쟁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시시비비(是是非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오늘은 시시비비(是是非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시비비 뜻

  • 是(옳을 시): 옳다
  • 是(옳을 시): 옳다
  • 非(그를 비): 그르다
  • 非(그를 비): 그르다

문자 그대로 시시비비는 “옳고 옳음, 그르고 그름”, 즉, 옳고 그름을 따짐 또는 사실의 진위를 분별함을 뜻합니다.

유래

시시비비(是是非非)는 중국 고전 문헌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논쟁과 분별을 중요시하던 유가(儒家) 철학에서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 판단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서 시시비비는 옳고 그름을 따지거나 논쟁하는 것을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

 

예문

  • 중요한 문제일수록 시시비비를 가려야 한다.
  • 그는 사사건건 시시비비를 따지느라 주변 사람들을 지치게 했다.
  • 언론은 사건의 시시비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 회의 내내 시시비비를 가리는 논쟁이 이어졌다.

 

시시비비시시비비시시비비

 

시시비비 반대말

  • 우유부단(優柔不斷):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임
  • 불문곡직(不問曲直): 옳고 그름을 묻지 않음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거나 무관심한 태도가 반대 의미입니다.

 

시시비비 유의어

  • 시비곡직(是非曲直): 옳고 그름과 곧음과 굽음을 가림
  • 공명정대(公明正大): 공정하고 명백함

모두 사물의 옳고 그름을 따지거나, 명확히 구분하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끝맺음

시시비비(是是非非)는 단순히 논쟁을 넘어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분명히 가려내고, 사실 여부를 바로잡는 자세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에도 시시비비는 정치, 사회, 법률 등 진위 여부가 중요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시비지심(是非之心) ⭐

시산혈해(屍山血海) ⭐

신상필벌(信賞必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