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상분지도(桑盆之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상분지도(桑盆之道)는 “뽕나무 화분의 도리”라는 뜻으로,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 또는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상분지도는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도리에 맞지 않는 억지스러운 행동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상분지도 뜻桑(뽕나무 상): 뽕나무盆(화분 분): 화분, 대야之(갈 지): ~의道(길 도): 도리, 이치문자 그대로 상분지도는 “뽕나무 화분의 도리”, 즉, 뽕나무는 큰 나무로 자라야 하는데 화분 속에 심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라는 의미입니다.상분지도는 억지스럽고 무리한 처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비유합니다. 유래상분지도(桑盆之道)는 중국 고전 《장자(莊子)》에서 유래합니다.장자는 자연의 이치와 본성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큰 나무는 넓은 들에 있어야 하고, 작은 식..
상마지교(桑麻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상마지교(桑麻之交)는 “뽕나무와 삼을 심는 사이”라는 뜻으로, 자연스럽고 소박하며 평범한 이웃 간의 정다운 교제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상마지교는 서로 화려하거나 특별하지는 않지만, 매우 평범하고 다정한 이웃 관계 또는 오랜 친구 관계를 비유합니다. 상마지교 뜻桑(뽕나무 상): 뽕나무, 농경 생활의 상징麻(삼 마): 삼, 생활용 섬유 재료, 생업의 상징之(갈 지): ~의交(사귈 교): 교제, 사귐문자 그대로 상마지교는 “뽕나무와 삼을 심으며 사귀는 사이”, 즉, 농사를 지으며 이웃끼리 자연스럽고 다정하게 사귀는 관계를 뜻합니다. 유래상마지교(桑麻之交)는 중국의 고전 《논어(論語)》 또는 《맹자(孟子)》 등의 유교 경전과 농경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표현입니다.뽕나무와 삼을 심는 것은 당시 평범한 ..
상루하습(上漏下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상루하습(上漏下濕)는 “위는 새고 아래는 젖는다”는 뜻으로, 주거 환경이 매우 열악하고 가난하여 위아래가 모두 불편한 처지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집은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차서 살기 어렵다는 뜻으로, 곧 몹시 가난하고 궁핍한 삶의 처지를 나타냅니다. 상루하습 뜻上(윗 상): 위漏(샐 루): 샌다 下(아래 하): 아래濕(젖을 습): 습함문자 그대로 상루하습은 “위는 새고, 아래는 젖는다”, 즉, 비가 오면 지붕은 새고, 바닥은 축축해서 주거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는 의미입니다. 유래상루하습(上漏下濕)은 중국 고전에서 전해오는 표현으로, 주로 가난한 생활 환경의 극단적인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상루하습은 지붕은 물이 새고, 바닥은 습기 찬 곳에 살아야 하는 상황은 가난하고 비참한..
사서삼경(四書三經) 뜻, 유래, 예문 사서삼경(四書三經)은 “네 권의 책과 세 권의 경전”이라는 뜻으로, 유학(儒學)의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경전들을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사서삼경은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기본 경전입니다. 오늘은 사서삼경(四書三經) 뜻, 유래, 예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서삼경 뜻四(넷 사): 네書(책 서): 책, 서적三(셋 삼): 세經(경서 경): 경전사서삼경은 문자 그대로는 “네 권의 책과 세 권의 경전”, 유학의 근본이 되는 사서(四書)와 삼경(三經)을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사서(四書)사서(四書)는 주자(朱子)가 유학의 기초 교육서로 선정한 네 권의 책입니다.논어(論語) – 공자의 언행과 가르침을 기록한 책맹자(孟子) – 맹자의 언행과 사상을 담은 책대학(大學) – 수신, 제가, 치국, 평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