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세한송백(歲寒松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세한송백(歲寒松柏)은 “추운 계절에도 변하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절개와 지조를 지키는 굳은 의지를 가진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환경이 어려울수록 본연의 품성과 절개가 더욱 드러난다는 의미입니다. 세한송백 뜻歲(해 세): 해, 세월, 겨울寒(찰 한): 차갑다, 추위松(소나무 송): 소나무. 상록수, 절개柏(잣나무 백): 잣나무. 상록수, 지조문자 그대로 세한송백은 “겨울에도 변치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 즉,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절개와 의지를 가진 존재를 상징합니다. 유래세한송백(歲寒松柏)은 중국 고전 《논어(論語)》 자한편(子罕篇)에서 유래합니다.“歲寒 然後知松柏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추운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
설중송백(雪中松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설중송백(雪中松柏)은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라는 뜻으로, 추운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처럼 절개와 지조를 지키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설중송백은 어려움 속에서도 변함없이 꿋꿋하게 자신의 신념과 절개를 지키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설중송백 뜻雪(눈 설): 눈中(가운데 중): ~속에, ~중에松(소나무 송): 소나무柏(잣나무 백): 잣나무, 상록수문자 그대로 설중송백은 “눈 속에서도 변함없는 소나무와 잣나무”, 즉, 어떤 시련이나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절개와 지조를 지키는 사람을 뜻합니다. 유래설중송백(雪中松柏)은 중국 고전 《후한서(後漢書)》 유표전(劉表傳)에서 유래합니다.“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추운 계절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드는 ..
설빈화안(雪鬢花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설빈화안(雪鬢花顔)은 “눈처럼 희고 고운 머리카락과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아름답고 단아한 여성의 외모를 찬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설빈화안은 머리카락은 눈처럼 희고 고우며, 얼굴은 꽃처럼 화사하고 아름답다는 의미로, 단순히 외모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고결하고 청초한 분위기까지 갖춘 미인상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설빈화안 뜻雪(눈 설): 눈, 희고 깨끗함鬢(빈 빈): 귀 옆의 머리카락, 관자머리花(꽃 화): 꽃, 화려함, 아름다움顔(얼굴 안): 얼굴문자 그대로는 “눈처럼 희고 고운 관자머리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 즉, 외모가 매우 청초하고 아름답다는 뜻입니다. 유래설빈화안(雪鬢花顔)은 중국 고대 문학과 한시, 궁정 문학에서 미인 묘사에 사용된 표현입니다.주로 설빈화안은 귀족 여성, 또는..
설부화용(雪膚花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설부화용(雪膚花容)은 “눈처럼 흰 피부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매우 아름답고 고운 여성의 외모를 찬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설부화용은 주로 피부는 눈처럼 희고 맑으며, 용모는 꽃처럼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의미로, 절세미인(絶世美人)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설부화용 뜻雪(눈 설): 눈, 희고 맑음膚(살갗 부): 피부, 살결花(꽃 화): 꽃, 화려하고 아름다움容(얼굴 용): 얼굴, 용모문자 그대로 설부화용은 “눈처럼 희고 고운 피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 즉, 피부가 맑고 흰색이며 얼굴은 화사하고 아름답다는 뜻입니다. 유래설부화용(雪膚花容)은 고대 중국 문학에서 미인을 찬미할 때 자주 사용된 표현입니다.특히, 고대 시가나 한시, 궁중 문학 등에서 절세미인을 묘사할 때 빈번하게 등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