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7

북창삼우(北窓三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북창삼우(北窓三友)는 학문과 수양, 고결한 삶의 자세를 상징하는 세 가지 친구, 즉 거문고(琴), 책(書), 술(酒)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조용한 북창 아래에서 이 세 가지를 벗 삼아 은일(隱逸)과 고고한 삶을 즐긴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북창삼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북창삼우 뜻北(북녘 북): 북쪽窓(창 창): 창문三(셋 삼): 세 가지友(벗 우): 친구, 벗북창삼우는 '북쪽 창문 아래 세 벗', 즉 거문고, 책, 술을 의미합니다. 북창삼우는 자연을 벗 삼아 조용히 사색하며, 학문과 예술을 즐기며 은둔하는 고결한 삶을 상징합니다. 유래북창삼우는 중국 고대 문인들의 은일 사상에서 유래합니다.중국 송나라 시인 임포(林逋)는 매화(梅花), 학..
부중생어(釜中生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부중생어(釜中生魚)는 솥 안에서 물고기가 산다는 말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 즉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나 기적 같은 일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중생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중생어 뜻釜(가마 부): 솥, 가마솥中(가운데 중): 속, 안生(날 생): 살다, 태어나다魚(물고기 어): 물고기부중생어는 문자 그대로는 “솥 안에서 물고기가 산다”는 뜻입니다.본래 물고기는 물이 있어야 사는데, 솥 안은 불이 붙고 물이 끓는 곳입니다. 그런 곳에서 물고기가 산다는 건 불가능한 일을 의미합니다.즉, 부중생어는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불가능한 상황이나 조건을 비유합니다. 유래부중생어(釜中生魚)는 고대 중국 고사에서 유래합니다.본래는 “솥 속..
부지불식(不知不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부지불식(不知不識)은 전혀 알지 못하고, 전혀 인식하지 못하다는 의미로, 아예 모르거나 전혀 깨닫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지불식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부지불식 뜻부지불식(不知不識)의 한자 풀이입니다.不(아닐 부): ~아니다知(알 지): 알다不(아닐 부): ~아니다識(알 식): 인식하다, 이해하다, 깨닫다부지불식은 “알지도 못하고, 인식하지도 못하다”, 즉 “전혀 알지 못하다, 까맣게 모르다”라는 뜻입니다.현대적으로 부지불식은 “전혀 모른다”,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는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유래부지불식(不知不識)은 중국 고대 문헌에서 흔히 사용된 표현입니다.특히, 《논어(論語)》, 《맹자(孟子)》, 《사기(史記)》 등에..
부앙무괴(俯仰無愧)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부앙무괴(俯仰無愧)는 하늘을 우러러보아도, 땅을 굽어보아도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자신의 양심에 거리낌 없이 떳떳한 삶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앙무괴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부앙무괴 뜻俯(굽을 부): 아래를 내려다봄仰(우러를 앙): 위를 우러봄無(없을 무): 없다愧(부끄러울 괴): 부끄러움, 거리낌부앙무괴는 하늘을 우러러보고(仰), 땅을 굽어보아도(俯) 부끄러움이 없다(無愧)는 뜻으로, 즉 부앙무괴는 양심에 거리낌이 없고 떳떳한 삶을 산다는 의미입니다. 유래부앙무괴(俯仰無愧)는 중국 맹자(孟子)의 말에서 유래합니다.《맹자(孟子)》 진심장(盡心章句) 상편에 등장하는 구절입니다.“부앙무괴어천지(俯仰無愧於天地)”(하늘을 우러러보아도, 땅을 굽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