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7

설망어검(舌芒於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설망어검(舌芒於劍)은 “혀가 칼보다 더 날카롭다는 뜻으로, 말이 칼보다 더 강하고 날카로워 사람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설망어검은 말의 힘과 영향력, 언어의 위력, 특히 남을 해치는 독설과 비난이 얼마나 강한지를 경고하는 표현입니다. 설망어검 뜻舌(혀 설): 혀, 말芒(까끄라기 망): 날카롭다, 칼날, 끝於(어조사 어): ~보다劍(칼 검): 칼 설망어검은 문자 그대로 “혀는 칼보다 더 날카롭다”, 즉, 칼보다 더 사람을 상처 입히는 것이 말(언어)임을 뜻합니다. 유래설망어검(舌芒於劍)은 중국 고전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에서 등장하며, 특히 정치와 외교, 법정에서 언변이 칼보다 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설전(舌戰)이라는 단어도 같은 ..
선우후락(先憂後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선우후락(先憂後樂)는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나 공동체의 어려움을 먼저 걱정하고, 일이 잘 해결된 후에야 자신이 즐긴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선우후락은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이타적인 태도, 즉 국가, 사회, 타인의 어려움을 자신의 일처럼 먼저 걱정하고, 일이 해결된 후에 개인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선우후락 뜻先(먼저 선): 먼저憂(근심할 우): 근심하다, 걱정하다後(뒤 후): 나중에樂(즐길 락): 즐기다, 기쁘다선우후락은 문자 그대로 “먼저 근심하고, 뒤에 즐긴다”, 즉, 타인과 사회를 위해 먼저 걱정하고, 일이 해결된 후에야 개인적 기쁨을 누린다는 뜻입니다. 유래선우후락(先憂後樂)은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 범중엄(范仲淹)의 글에서 유래합니다.《악양루..
서시빈목(西施嚬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서시빈목(西施嚬目)은 “서시가 눈살을 찌푸린다”는 뜻으로, 서시처럼 아름다운 사람이 눈살을 찌푸리면 오히려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의미입니다.하지만, 서시빈목은 대부분 겉모습만 흉내 내면 본질을 잃고 오히려 우스워진다, 즉, 겉모습만 따라하는 어리석음을 비판하는 뜻으로 더 자주 사용됩니다. 서시빈목 뜻西施(서시):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의 절세미인 서시嚬(찡그릴 빈): 얼굴을 찡그리다, 눈살을 찌푸리다目(눈 목): 눈문자 그대로 서시빈목은 “서시가 눈살을 찌푸린다”, 즉, 원래 아름다운 사람이 하는 행동은 어떤 모습도 아름다워 보인다는 뜻.그러나, 서시빈목은 그 행동만 겉으로 흉내 내는 사람은 오히려 웃음거리가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서시빈목(西施嚬目)은 중국 고전 《장자(莊子)》 외편 천운편..
서리지탄(胥吏之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서리지탄(胥吏之歎)은 “서리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낮은 관직에 머물러 출세하지 못하는 사람의 한탄과 좌절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즉, 서리지탄은 벼슬이 낮고 신분이 미천하여 출세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깊은 탄식과 불만을 의미합니다. 서리지탄 뜻胥(서기 서): 하급 관리, 서리(書吏)吏(관리 리): 아전, 하급 관리之(갈 지): ~의歎(탄식할 탄): 탄식하다, 한탄하다문자 그대로 서리지탄은 “하급 관리의 탄식”, 즉, 미천한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출세하지 못해 신세를 한탄하는 마음을 뜻합니다. 유래서리지탄(胥吏之歎)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과거 중국이나 조선 사회에서 胥吏(서리)는 문서 행정, 세금 징수, 잔심부름을 맡은 하급 관리였습니다.벼슬이 낮아 사회적 지위가 낮고, 승진의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