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7

빙자옥질(氷姿玉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빙자옥질(氷姿玉質)은 “얼음 같은 맑은 모습과 옥 같은 고운 본질”이라는 뜻으로, 겉모습도 아름답고, 마음씨나 성품도 매우 고결하고 맑은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외모와 내면이 모두 아름답고 고결한 인물에게 쓰입니다. 빙자옥질 뜻 氷(얼음 빙): 얼음(맑고 깨끗함의 상징)姿(맵시 자): 자태, 외모, 모습玉(옥 옥): 옥(순수함, 고귀함의 상징)質(바탕 질): 본질, 마음씨, 성품문자 그대로 빙자옥질은 "얼음처럼 맑고 투명한 모습과 옥처럼 고귀하고 순수한 본질"을 뜻합니다.빙자옥질은 외모는 단아하고 맑으며, 성품은 고결하고 순수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유래빙자옥질(氷姿玉質)은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문학적으로는 매화(梅花)를 찬미하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빙공영사(憑公營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빙공영사(憑公營私)는 공적인 권력을 이용해 사적인 이익을 챙긴다는 뜻으로, 공적 지위를 사적으로 남용하거나, 공적인 일을 가장해 사사로운 이익을 도모하는 부정행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빙공영사 뜻憑(기댈 빙): 의지하다, 기대다公(공평할 공): 공적인 것, 국가, 조직, 공권력營(경영할 영): 경영하다, 도모하다, 운영하다私(사사로울 사): 사적인 이익, 개인의 욕심빙공영사는 문자 그대로는 “공적인 것에 의지해 사적인 이익을 경영한다”는 뜻입니다.즉, 빙공영사는 공적 권한을 사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 공적인 지위를 이용해 사리사욕을 채우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유래빙공영사(憑公營私)는 특정 고전에서 직접 등장하는 고사성어는 아닙니다.그러나, 중국과 한국에서 관료 사회나 권력층의 부정부패, 직권 남..
빈이무원(貧而無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빈이무원(貧而無怨)은 “가난하지만 원망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비록 가난한 처지에 있어도 불평하거나 원망하지 않고,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도리에 맞게 살아가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빈이무원 뜻貧(가난할 빈): 가난하다而(말 이을 이): ~하지만, 그리고無(없을 무): 없다怨(원망할 원): 원망하다빈이무원은 문자 그대로는 “가난하지만 원망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즉 경제적으로 가난해도 마음은 풍요롭고 원망하지 않는 삶의 자세를 나타냅니다. 유래빈이무원(貧而無怨)은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서 유래합니다.“賢賢易色, 事父母能竭其力,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현명함을 귀히 여기고, 부모를 섬기되 힘을 다하며, 군주를 섬기되 몸을 바치며, 친구와 사귈 때는 말에..
비익연리(比翼連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비익연리(比翼連理)는 "비익조와 연리지"를 합쳐 만든 사자성어로, 부부나 연인이 매우 다정하고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하는 말입니다.지극히 화목한 부부 관계, 변치 않는 사랑, 영원한 동반자를 상징합니다. 비익연리 뜻比翼(비익): 비익조 - 암수 한 쌍의 새로, 각각 한 쪽 날개와 한 쪽 눈만 있어 서로 의지해야만 날 수 있음, 즉 부부의 금슬과 일심동체를 상징.連理(연리): 연리지 - 두 그루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 하나로 엉켜 자람, 즉 끊을 수 없는 인연과 결속을 의미.비익연리는 "비익조처럼 서로 의지하며, 연리지처럼 하나로 얽혀 사는 관계", 즉 진정한 사랑, 부부의 깊은 정,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인연을 나타냅니다. 유래비익연리(比翼連理)는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