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식태산(不識泰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불식태산(不識泰山)은 "태산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뛰어난 인물이나 훌륭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 또는 눈이 어두워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불식태산 뜻不(아닐 불): ~아니다識(알 식): 알다, 인식하다泰(클 태): 태산(泰山), 중국의 가장 크고 높은 산山(메 산): 산 불식태산은 "태산도 알아보지 못한다", 즉 뛰어난 존재나 인물을 알아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의미합니다.불식태산은 크게 뛰어난 존재 앞에서도 그것이 얼마나 대단한지 모르고 무시하거나 알아보지 못하는 상태를 비유합니다. 유래불식태산(不識泰山)은 중국 고사에서 유래합니다.태산(泰山)은 중국 오악(五岳)의 으뜸인 가장 높은 산으로, 예로부터 위대함, 숭고함, 존귀함의 상징이었습니다.고대 중국에서 태..
불생불멸(不生不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불생불멸(不生不滅)은 불교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는다’, 즉 영원불변의 진리와 절대적 본질을 의미합니다.세상의 모든 존재는 겉으로는 생기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생겨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는 법(法)이라는 깨달음을 담고 있습니다. 불생불멸 뜻不(아닐 불): 아니다生(날 생): 태어나다, 생기다不(아닐 불): 아니다滅(멸망할 멸): 사라지다, 없어지다불생불멸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존재의 본질은 생사(生死)와 무상(無常)의 흐름을 넘어선 절대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불생불멸은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은 변하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불교의 근본 진리를 상징합니다. 유래불생불멸은 불교 경전에서 유래합니다.《금강경(金剛經)》, 《반야..
불간지서(不刊之書)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불간지서(不刊之書)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글, 즉 길이 남을 명저나 불후의 명작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후세에 길이 전해질 가치 있는 글이나 기록을 상징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간지서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불간지서 뜻不(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刊(깎을 간): 깎다, 지우다, 삭제하다之(갈 지): ~의書(글 서): 글, 책불간지서는 문자 그대로는 “지워지지 않는 글”이라는 뜻입니다.즉, 불간지서는 길이 남을 훌륭한 책이나 기록, 영원히 전해질 불멸의 명저를 의미합니다. 유래불간지서(不刊之書)는 중국 고대 문헌에서 유래합니다.《서경(書經)》과 《사기(史記)》 등 고대 역사서에서 사용되었으며, “돌에 새긴 글처럼 지워지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발전한 표현입..
분서갱유(焚書坑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분서갱유(焚書坑儒)는 서적을 불태우고, 유학자들을 구덩이에 묻어 죽이다는 뜻으로, 사상의 탄압, 학문의 억압, 표현의 자유를 막는 폭압적인 정치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분서갱유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분서갱유 뜻焚(불사를 분): 불태우다書(책 서): 책, 문서坑(구덩이 갱): 구덩이에 파묻다儒(유학자 유): 유학자, 학자분서갱유는 ‘책을 불태우고, 유학자를 구덩이에 파묻어 죽인다’는 뜻으로, 지식과 사상, 학문을 탄압하는 행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분서갱유(焚書坑儒)는 중국 진나라 시절 진시황(秦始皇) 때 일어난 사건에서 유래합니다.기원전 213년, 진시황은 법가의 사상가 이사(李斯)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가를 비롯한 다른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