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7

비육지탄(髀肉之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비육지탄(髀肉之嘆)은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해 헛되이 세월만 보내는 것을 한탄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펼칠 무대가 없어서 느끼는 안타까움과 답답함을 표현합니다. 비육지탄 뜻髀(넓적다리 비): 허벅지肉(고기 육): 살, 근육之(갈 지): ~의嘆(탄식할 탄): 탄식하다비육지탄은 문자 그대로는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한탄한다"는 뜻입니다.비육지탄은 재능은 있지만 쓸 곳이 없어 세월만 헛되이 보내는 안타까운 심정을 나타냅니다. 유래비육지탄(髀肉之嘆)은 삼국지 연의와 정사 삼국지 모두에 기록된 고사에서 유래합니다.한나라 말, 유비(劉備)가 오랫동안 벼슬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시절, 어느 날 자신의 허벅지를 만져보니, 예전에 말을 타고 다..
비승비속(非僧非俗)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비승비속(非僧非俗)은 문자 그대로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다"라는 뜻으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애매한 상태나, 중도에 걸친 불완전하고 모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명확한 정체성이나 입장을 가지지 못한 상태, 혹은 어중간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비유합니다. 비승비속 뜻非(아닐 비): 아니다僧(중 승): 승려, 출가한 사람非(아닐 비): 아니다俗(속세 속): 속인, 세속인비승비속은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다”, 즉 어느 쪽에도 명확히 속하지 않은 모호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유래비승비속(非僧非俗)은 불교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불교 역사 속에서 출가했음에도 승려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속인으로 돌아가지도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며 사용된 말입니다.이후 종교적 맥락을 넘어, 입장이 불..
비몽사몽(非夢似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비몽사몽(非夢似夢)은 "꿈도 아니고, 꿈같기도 하다"는 뜻으로, 정신이 흐릿하고 몽롱한 상태, 혹은 현실과 꿈의 경계가 불분명한 상태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마치 꿈을 꾸는 것 같은 어리둥절한 상태, 멍한 상태, 현실감 없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비몽사몽 뜻非(아닐 비): 아니다夢(꿈 몽): 꿈似(같을 사): 같다, 유사하다夢(꿈 몽): 꿈비몽사몽은 문자 그대로는 “꿈은 아닌데 꿈과도 같다”는 뜻입니다. 비몽사몽은 현실인지 꿈인지 모를 정도로 정신이 몽롱하거나 혼란스러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유래비몽사몽(非夢似夢)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관용적 표현입니다.장자의 “호접몽(胡蝶夢)” 고사처럼 현실과 꿈의 경계가 모호한 철학적 사유와 관련이 있습니다.직접적인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고대부터 문..
붕정만리(鵬程萬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붕정만리(鵬程萬里)는 "붕새가 날아가는 길이 만 리에 이른다"는 뜻으로, 앞으로의 앞날이 매우 크고 창창하며, 장래가 밝고 크게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붕정만리 뜻鵬(붕새 붕): 전설 속 거대한 새, 붕새程(길 정): 여정, 길萬(일만 만): 만, 매우 많음里(거리 리): 거리 단위, 약 500m붕정만리는 문자 그대로는 "붕새의 여정은 만 리에 이른다"는 뜻으로, 앞날이 매우 창창하고 성공 가능성이 크다,붕정만리는 큰 뜻을 품고 멀리 나아가는 사람의 미래를 축복하는 말입니다. 유래붕정만리(鵬程萬里)는 중국 고대 철학서인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편에서 유래합니다.장자에 따르면, 북해에 사는 전설 속의 거대한 새 붕(鵬)은 날개를 한 번 펼치면 수천 리가 넘고, 한 번 날..